출산 후 산후조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산후풍 등으로 고생하는 산모들이 많은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산후조리 방법과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계절 별 산후조리 방법 알아보기
먼저 간절기인 봄과 가을에는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기온변화에 맞추어 체온을 조절해야 합니다.
옷을 두껍거나 얇게 입는 대신
여러 겹을 겹쳐 입고 한겹씩 입거나 벗는것이 좋겠죠
또한 환기를 할 때에는 옷을 두껍게 입고
문이 닫혀있는 공간에 있는 것이 좋습니다.
무더운 여름에는 에어컨을 켜게 되는데요
아무리 덥더라도 차가운 바람이 몸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많이 덥다면 에어컨이나 선풍기 바람을
산모 쪽으로 틀어두는 대신
서큘레이터 등을 이용해 간접적으로
시원한 환경을 만들어주는것이 좋습니다.
특히 덥다고 차가운 물에 샤워하는 것은 금물인데요
차가운 물이 직접 닿으면 산후풍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여름이더라도 따뜻한 물로 샤워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운 겨울에는 차가운 바람이나 공기에
산모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것이 중요한데요
내의를 입으며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하고
목이나 손목, 발목과 허리 등도
차가운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주는 것이 좋습니다.
항상 명심해야 하는 산후조리 주의사항
어느 계절에 상관없이
적절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산후조리에 적절한 환경은
실내온도 25~26도
습도 40~60%
덥거나 땀이 나더라도 하의를 꼭 입고
혈액순환이 잘 되는 헐렁한 양말을 신어주어야 합니다.
특히 차가운 음식이나 물을 먹는 것은 좋지 않은데요
물은 미지근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음식은 데워서 따뜻하게 먹는 것이 좋습니다.
과일을 먹는 경우에도
차갑게 먹는 대신 실온에 두었다가
찬 기운이 사라지면 먹는것이 바람직합니다.
출산직후 산후조리 방법은?
출산 직후부터도 산후조리에 신경을 써야하는데요
출산 후에는 몸에서 오로가 배출되고
몸이 부으면서 체온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몸을 따뜻하게 하면서 식사를 해주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자연분만이든 제왕분만이든
회음부나 수술부위에서는 통증이 지속
남아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무리한 움직임은 삼가야 해요
특히 출산직후부터는 젖이 돌기 시작하면서
유방통증이 시작될 수 있는데요
이 때에는 초유를 아기에게 먹일 수 있도록
유두를 깨끗하게 하고
젖마사지를 통해 젖몸살을 예방해야 합니다.
또한 아무리 찝찝하더라도
샤워는 최소 3일 후에 하는것이 좋아요 !
'임신과출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판이유식 식단표 다운로드 (엑셀파일 첨부) (0) | 2022.09.25 |
---|---|
시판이유식 업체 리스트 (링크) (0) | 2022.09.25 |
출산 당일 할 일 :: 이후 관리까지 (0) | 2022.02.28 |
임신성 비염 :: 증상과 대처방법 알아보기 (0) | 2022.02.26 |
산후조리원 선택기준 알아보기 (0) | 2022.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