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후 처음으로 정리해보는 가계부
이제 저축과 지출내역을 세세하게 트래킹해서 빈틈없는 자산관리를 할 예정!
맞벌이 신혼부부 3월 지출 현황
- 총 지출: 2,705,752
- 고정비: 1,821,612원
- 변동비: 884,140원
* 변동비 중 경조사비용 35만원 (부모님 용돈 30만원 / 부의금 5만원) *
고정비: 주거/통신(지출성 보험료 포함), 용돈, 교통/차량
변동비: 그 외 모든 항목
3월 예산 대비 지출 현황
카테고리 | 예산금액 (만원) | 지출금액 (만원) |
주거/통신 (지출성 보험료 포함) | 71.5 | 71.3 |
교통/차량 | 26 | 30.8 |
생활비 (데이트비용 포함) | 30 | 53.4 |
주거/통신은 고정비용이라 그런지 우리 예상에 딱 맞게 지출금액이 나왔다.
지출성 보험료도 고정비용으로 쉽게 파악하기 위해 주거/통신 분류에 넣어두었는데,
저축성 보험료(상조보험)은 저축으로 분류해서 같은 보험도 지출과 저축으로 나눠서 정리하고 있다.
교통비는 기타지출이 발생하여 48,400원 초과함!
이것은 내가 재택근무를 시작하면서 남편이 있는 동네로 왔다갔다했기 때문에 발생한 지출이다.
KTX 금액 정말 무시못하네 ㅠ.ㅜ 이제 남편동네 놀러갈땐 무조건 지하철을 타야겠다.
우리는 식비와 데이트를 포함한 생활비 전체 예산을 30만원으로 책정했는데,
역시나 불가능한것인가?
ㅋㅋㅋㅋㅋ
이미 식비부터 46만원으로 우리 예산을 훌쩍 넘어버렸다.
일단 3월 우리의 식비 초과 포인트는 외식과 마트방문이 많았던 것!
이것도 결과적으로는 내가 남편한테 내려감으로써 발생한 내역인데,
남편 자취방에서 요리를 해먹을 여건이 안되다보니 매일 외식을 하고, 또 트레이더스를 두 번이나 갔다.
남편 보고싶어도 내려가면 안되겠다 ^ㅠ^
자산 증식 현황: 전월 대비 7% 증가
3월에는 정확한 수입과 저축(투자), 비용 등을 완벽하게 컨트롤하지 못해서
저축 현황이나 자산 증식 현황을 트래킹하기 어렵다.
다만 확실한 것은 현금으로 남편 월급 이상은 불렸다는 것과,
코로나로 인한 주식시장 변동으로 투자자산이 널뛰기를 한다는 것
4월에는 좀 더 정확하게 정리해야지 -
'신혼부부돈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카드추천 :: 신한 더모아카드(The More) 신혼부부가 쓰기 좋은카드 (0) | 2021.01.05 |
---|---|
[신혼부부 재테크] 신혼부부에게 꼭 필요한 비상금통장 만들기, 매달 이자 2%주는 사이다뱅크 추천 (0) | 2020.03.05 |
[자료공유] 엑셀 가계부 양식 공유 (가계부 양식 다운로드) (12) | 2020.01.19 |